🧪 17135 캐슬 디펜스
난이도 : 🌟 골드 3
유형 : 그래프 탐색 (BFS)
17135번: 캐슬 디펜스
첫째 줄에 격자판 행의 수 N, 열의 수 M, 궁수의 공격 거리 제한 D가 주어진다. 둘째 줄부터 N개의 줄에는 격자판의 상태가 주어진다. 0은 빈 칸, 1은 적이 있는 칸이다.
www.acmicpc.net
📝 문제

캐슬 디펜스는 성을 향해 몰려오는 적을 잡는 턴 방식의 게임이다. 게임이 진행되는 곳은 크기가 N×M인 격자판으로 나타낼 수 있다. 격자판은 1×1 크기의 칸으로 나누어져 있고, 각 칸에 포함된 적의 수는 최대 하나이다. 격자판의 N번행의 바로 아래(N+1번 행)의 모든 칸에는 성이 있다.
성을 적에게서 지키기 위해 궁수 3명을 배치하려고 한다. 궁수는 성이 있는 칸에 배치할 수 있고, 하나의 칸에는 최대 1명의 궁수만 있을 수 있다. 각각의 턴마다 궁수는 적 하나를 공격할 수 있고, 모든 궁수는 동시에 공격한다. 궁수가 공격하는 적은 거리가 D이하인 적 중에서 가장 가까운 적이고, 그러한 적이 여럿일 경우에는 가장 왼쪽에 있는 적을 공격한다. 같은 적이 여러 궁수에게 공격당할 수 있다. 공격받은 적은 게임에서 제외된다. 궁수의 공격이 끝나면, 적이 이동한다. 적은 아래로 한 칸 이동하며, 성이 있는 칸으로 이동한 경우에는 게임에서 제외된다. 모든 적이 격자판에서 제외되면 게임이 끝난다.
게임 설명에서 보다시피 궁수를 배치한 이후의 게임 진행은 정해져있다. 따라서, 이 게임은 궁수의 위치가 중요하다. 격자판의 상태가 주어졌을 때, 궁수의 공격으로 제거할 수 있는 적의 최대 수를 계산해보자.
격자판의 두 위치 (r1, c1), (r2, c2)의 거리는 |r1-r2| + |c1-c2|이다.
입력
첫째 줄에 격자판 행의 수 N, 열의 수 M, 궁수의 공격 거리 제한 D가 주어진다. 둘째 줄부터 N개의 줄에는 격자판의 상태가 주어진다. 0은 빈 칸, 1은 적이 있는 칸이다.
출력
첫째 줄에 궁수의 공격으로 제거할 수 있는 적의 최대 수를 출력한다.
🚧 주의할 점
1. 같은 적이 여러 궁수에게 공격 당할 수 있다. → 큰 문제가 아니라고 생각했지만 첫번째 궁수가 잡은 적을 두번째 궁수가 제외하면 안된다.
2. 얕은 복사와 깊은 복사 주의
🧐 핵심 로직
◈ 궁수를 배치해준다. → 조합을 통해 모든 배치를 탐색하는 것 말고 다른 방법이 없을지 생각했지만 모든 배치 탐색 이외의 방식이 생각나지 않았다.
◈ 우선순위 큐를 활용하여 가장 가깝고, 여러 적이 가깝다면 가장 왼쪽 적이 제거되도록 구현
◈ 적들 리스트와 제거될 리스트를 비교하여 제거한 후 적들 리스트 행 한칸씩 늘리고 성에 닿은 적들은 제거해주는 방식으로 반복을 진행한다.
💻 최종 코드 (452 ms)
import java.io.*;
import java.util.*;
public class Main {
static int n, m, dist, res;
static int[] archer;
static int[][] castleMap;
static List<int[]> monsterGroup;
static int[] dx = {-1,1,0,0};
static int[] dy = {0,0,-1,1};
static class Node implements Comparable<Node> {
int x, y, d;
Node(int x, int y, int d) {
this.x = x;
this.y = y;
this.d = d;
}
@Override
public int compareTo(Node o) {
if (this.d == o.d) { // 거리가 같다면
return this.y - o.y; // 열이 더 작은 값(더 왼쪽)
} else
return this.d - o.d; // 오름차순
}
}
public static void main(String[] args) throws IOException {
// BufferedReader br = new BufferedReader(new InputStreamReader(System.in));
BufferedReader br = new BufferedReader(new FileReader("input.txt"));
StringTokenizer st = new StringTokenizer(br.readLine());
n = Integer.parseInt(st.nextToken());
m = Integer.parseInt(st.nextToken());
dist = Integer.parseInt(st.nextToken());
archer = new int[3];
monsterGroup = new ArrayList<>();
castleMap = new int[n][m];
for (int i = 0; i < n; i++) {
st = new StringTokenizer(br.readLine());
for (int j = 0; j < m; j++) {
castleMap[i][j] = Integer.parseInt(st.nextToken());
if (castleMap[i][j] == 1) {
monsterGroup.add(new int[]{i, j});
}
}
}
locateArcher(0, 0);
System.out.println(res);
br.close();
}
private static void locateArcher(int index, int start) {
if (index == 3) {
List<int[]> newMonsterGroup = copy(monsterGroup);
action(newMonsterGroup);
return;
}
for (int i = start; i < m; i++) {
archer[index] = i;
locateArcher(index + 1, i + 1);
}
}
private static List<int[]> copy(List<int[]> monsterGroup) {
List<int[]> tmp = new ArrayList<>();
for (int[] cur : monsterGroup) {
tmp.add(new int[]{cur[0], cur[1]});
}
return tmp;
}
private static void action(List<int[]> newMonsterGroup) {
int cnt = 0;
while (!newMonsterGroup.isEmpty()) {
List<int[]> targets = new ArrayList<>();
for (int i = 0; i < 3; i++) {
PriorityQueue<Node> pq = new PriorityQueue<>();
for (int j = 0; j < newMonsterGroup.size(); j++) {
int[] cur = newMonsterGroup.get(j);
int diffDist = Math.abs(cur[0] - n) + Math.abs(cur[1] - archer[i]);
if (diffDist <= dist) {
pq.add(new Node(cur[0], cur[1], diffDist));
}
}
if (!pq.isEmpty()) {
Node target = pq.poll();
boolean flag = false;
for (int j = 0; j < targets.size(); j++) {
int[] cur2 = targets.get(j);
if (cur2[0] == target.x && cur2[1] == target.y) {
flag = true;
break;
}
}
if (!flag) {
targets.add(new int[]{target.x, target.y});
}
}
}
for (int i = 0; i < targets.size(); i++) {
for (int j = newMonsterGroup.size() - 1; j >= 0; j--) {
if (targets.get(i)[0] == newMonsterGroup.get(j)[0] && targets.get(i)[1] == newMonsterGroup.get(j)[1]) {
newMonsterGroup.remove(j);
cnt++;
break;
}
}
}
for (int i = newMonsterGroup.size() - 1; i >= 0; i--) {
newMonsterGroup.get(i)[0] += 1;
if (newMonsterGroup.get(i)[0] == n)
newMonsterGroup.remove(i);
}
}
res = Math.max(res, cnt);
}
}
'Hub Algorithm > 그래프 탐색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BOJ] 백준 16724 : 피리 부는 사나이 (java) (0) | 2024.02.14 |
---|---|
[BOJ] 백준 1939 : 중량제한 (java) (2) | 2024.02.13 |
[BOJ] 백준 2638 : 치즈 (java) (2) | 2024.02.10 |
[BOJ] 백준 2146 : 다리 만들기 (java) (2) | 2024.02.03 |
[BOJ] 백준 2206 : 벽 부수고 이동하기 (java) (2) | 2024.02.01 |